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5

(법률) 키오스크 및 모바일앱 장애인 접근성 제고를 위한 정당한 편의 제공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관광사업자 및 상시 100인 미만 사업주까지 적용(25.1.28)이 법의 시행일(2023년 1월 28일) 이전 설치된 키오스크는, 2026년 1월 28일부터 관련 의무를 적용하고, 법률 시행일 이후부터 각 단계별 적용일 이전에 이미 설치된 키오스크의 경우에도 2025년 1월 28일부터 관련 의무를 적용1. 개요 - 장애인차별금지법 개정(2021년 7월 27일 개정, 2023년 1월 28일 시행)에 따라, 키오스크 및 모바일앱에 대한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당한 편의의 구체적 내용과 단계적 시행범위를 대통령령으로 정함 - 장애인과 고령자들도 키오스크·모바일 앱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2. 주요 내용2-1. 키오스크 - 적.. 법률&정책 2025. 1. 31.

(트렌드) 2025 관광 트렌드, S.P.E.C.T.R.U.M. - 한국관광공사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이하 공사)는 2025년 관광산업의 주요 흐름을 담은 2025 관광트렌드 ‘S.P.E.C.T.R.U.M’을 발표지역의 관광산업 기반 구축 노력, 반려동물 친화관광 확장, 한류 산업 확장 및 다변화, 미식여행, 범용화된 AI 기술 활용, 웰니스 치유 여행 개인 맞춤화, 디지털 전환에 따른 개인 편리성 강화, 로컬리즘 추구 등 총 8가지의 핵심 키워드를 통해 2025년 관광트렌드를 제시1. 지역의 관광산업 기반 구축 노력(Sustainable Regional Tourism Efforts)지역은 인구감소 문제 해결책으로 지역관광 산업 기반 구축에 힘을 쏟을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노마드 인구의 증가*, 업무와 여가를 결합한 ‘블레저(Business+Leisure) 여행’ 지속 확.. 관광&여행 2025. 1. 24.

(요약) 중국어 간체(Simplified), 번체(Tranditional) 사용지역

중국어 간체자와 번체자는 중국어를 표기하는 문자 체계에서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진 두 가지 문자 집합을 말함둘은 역사적, 지역적, 그리고 문화적 차이로 인해 생겨났으며, 현재도 각각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음1. 사용 지역문자 체계사용 지역간체자중국 본토,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번체자대만, 홍콩, 마카오 등2. 주요 차이점 간체(Simplified)  - 효율성: 쓰기와 학습이 쉬워 교육과 커뮤니케이션이 빠름  - 현대적: 경제 및 기술 중심지인 중국 본토에서 사용되며 국제적으로 더 많이 노출됨 번체(Tranditional)  - 전통 존중: 글자의 미적 가치와 역사적 유산 유지  - 문화적 정체성: 대만, 홍콩 등의 전통적 중국 문화 보존 지역에서 중요하게 여겨짐 관광&여행 2025. 1. 23.

SSL(Secure Sockets Layer), TLS(Transport Layer Security)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암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현재는 SSL의 개선 버전인 TLS(Transport Layer Security)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다만, SSL이란 이름이 익숙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SSL의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음1. SSL의 개념 및 프로세스[SSL 개념 및 프로세스 참고사이트]  - https://nuritech.tistory.com/25 - https://mark-kim.blog/HTTPS/ - https://brunch.co.kr/@swimjiy/472. SSL 활용사례  - 웹사이트 보안(HTTPS): SSL/TLS는 HTTP와 결합되어 HTTPS로 사용, 안전한 웹 브라우징 제공  - 전자상거래: 고객의 결제 정보(신용카드 번호 등)를 안전하게 전.. 기타 2025. 1. 23.

(API) 한국관광공사 관광정보 서비스 분류코드

TourAPI는 한국관광공사가 보유한 최신의 관광 데이터 개방을 위한 서비스국문뿐만 아니라, 영문, 일문, 중문간체, 중문번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 국내 최대 다국어 관광정보를 제공국내 최대 관광정보 포털 사이트 Visitkorea(http://www.visitkorea.or.kr)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관광정보 중 저작권 등에 구애 없이 자유롭게 활용 가능한 정보만을 선별하여 홈페이지와 동일한 최신정보를 제공1. 관광정보 서비스 목록  - 국문, 영문, 일문, 중문간체, 중문번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 9개 언어 제공     https://api.visitkorea.or.kr/#/useUtilExercises?utilName=&requestPage=12. O.. API연계 2025. 1. 23.